[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 공부방/Cloud2024. 5. 31. 20:58
Table of Contents
[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
이전 프로젝트에서 GCP 클라우드를 활용한 배포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 이번에는 AWS를 활용한 배포 방법을 학습하고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AWS 배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
이 글은 AWS 배포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나중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AWS EC2란?
AWS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로, 기업과 개발자는 물리적 하드웨어를 구매하고 유지보수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EC2는 다양한 가격 정책과 높은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AWS 상단의 서비스 클릭
- AWS 콘솔에 로그인한 후 상단의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컴퓨팅 선택 후 EC2 선택
- ‘컴퓨팅’ 카테고리에서 ‘EC2’를 선택합니다.
✔️ AWS EC2 인스턴스 시작 클릭
-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 인스턴스 이름 선정
- 인스턴스의 이름을 정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 인스턴스의 OS 선택
- 인스턴스에 설치할 운영 체제를 선택합니다.
- 저는 Ubuntu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Ubuntu를 선택했습니다. 각자 사용하시는 OS를 선택하셔도 좋습니다.
- 예를 들어, Red Hat 자격증 소지한 친구는 항상 Red Hat만 사용하더라고요! ☺️
✔️ 인스턴스 유형 선택
-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합니다. 이는 컴퓨터의 사양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 인스턴스 유형별 사양을 참고하여 적합한 것을 선택하세요.
- 인스턴스 유형별 사양 참고
✔️ 키 페어(로그인)
- SSH 연결 시 사용할 키 페어를 생성합니다.
- ‘새 키 페어 생성’을 클릭하고, 이름은 프로젝트 이름이나 기억하기 쉬운 이름으로 설정합니다.
✔️ 네트워크 설정
- 기존 보안 그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없으면 새 보안 그룹을 생성합니다.
- 이 단계에서 MySQL 포트 및 서버 포트 등의 보안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인 설정을 체크한 후 나중에 추가적인 보안 설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스토리지 구성
- 프로젝트의 크기에 맞게 저장 공간을 설정합니다.
✔️ 최종 설정 확인 및 인스턴스 시작
- 모든 설정을 확인한 후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합니다.
- 인스턴스가 조금만 대기 후 ‘실행 중’ 상태가 되면 성공적으로 생성 완료된 것입니다.
- 인스턴스가 조금만 대기 후 [실행 중] 이 보인다면 성공적으로 생성 완료 되었습니다.
추후에는 키 페어를 활용한 SSH 연결 방법과 탄력적 IP 설정 관련해서도 공부하고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 공부방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탄력적 IP 주소 설정 (0) | 2024.06.02 |
---|---|
[GCP] Compute Engine 인스턴스 생성 (0) | 2024.03.20 |
@택이✌️ :: Code::택이
Backend 개발자를 꿈꾸는 꿈나무💭 기술 블로그
꾸준함을 목표로 하는 꿈나무 개발자 택이✌️입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 함께 프로젝트 및 스터디도 언제든지 희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