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탄력적 IP 주소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YzrQO%2FbtsHKJWmKN4%2F0KP5EuEna0UR2zygKv4wf1%2Fimg.png)
[AWS] AWS 탄력적 IP 주소 설정📕 공부방/Cloud2024. 6. 2. 09:40
Table of Contents
[AWS] AWS 탄력적 IP 주소 설정
이전 포스팅에서 AWS EC2 인스턴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습니다. 이번에는 AWS의 구축된 인스턴스의 IP를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인 탄력적 IP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려고 합니다.
이 글은 AWS 탄력적 IP 주소 설정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나중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AWS 탄력적 IP란?
AWS 탄력적 IP 는 고정된 IPv4 주소로,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IP 주소를 변경하지 않고 인스턴스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EC2 인스턴스는 시작하거나 중지할 때마다 IP 주소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탄력적 IP를 사용하면 이러한 변동 없이 특정 IP 주소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상단의 서비스 클릭
- AWS 콘솔에 로그인한 후 상단의 ‘서비스’를 클릭합니다.
✔️ 컴퓨팅 선택 후 EC2 선택
- ‘컴퓨팅’ 카테고리에서 ‘EC2’를 선택합니다.
✔️ 메뉴에서 탄력적 IP 선택
- 네트워크 및 보안에서 ‘탄력적 IP’를 선택합니다.
✔️ 탄력적 IP 주소 할당
- 오른쪽 위 상단의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클릭합니다.
- 내용을 확인한 후 ‘할당’을 클릭합니다.
✔️ 탄력적 IP 주소 선택 후 연결
- 할당된 IP를 선택한 후 오른쪽 상단의 ‘작업’을 클릭하고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선택합니다.
✔️ 탄력적 IP 주소 선택 후 연결
- 인스턴스 목록에서 자신이 생성한 인스턴스 이름을 클릭합니다.
- 프라이빗 IP 주소 목록에서 자신 인스턴스의 IP 주소를 선택한 후 ‘연결’을 클릭합니다.
이제 탄력적 IP가 EC2 인스턴스에 성공적으로 연결되었습니다.
추후에는 키 페어를 활용한 SSH 연결 방법 관련해서도 공부하고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 공부방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WS EC2 인스턴스 생성 (0) | 2024.05.31 |
---|---|
[GCP] Compute Engine 인스턴스 생성 (0) | 2024.03.20 |
@택이✌️ :: Code::택이
Backend 개발자를 꿈꾸는 꿈나무💭 기술 블로그
꾸준함을 목표로 하는 꿈나무 개발자 택이✌️입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 함께 프로젝트 및 스터디도 언제든지 희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