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테크코스 7기 최종 코딩테스트 후기
📝 회고록2024. 12. 15. 23:00우아한 테크코스 7기 최종 코딩테스트 후기

[우아한 테크코스 7기 최종 코딩테스트 후기]어제, 12월 14일 '우아한 테크코스 7기' 최종 코딩 테스트를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준비한 만큼 좋은 작품을 만들지 못해 아쉬움과 후회로 가득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다음 날인 오늘, 아쉬운 마음을 다잡고 이렇게 회고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스스로의 아쉬움과 속상한 마음에 시험 도중 눈물도 흘리고, 집에 돌아오는 지하철, 기차에서도 눈물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도착한 후에는 불과 몇 시간 전에 치른 시험 장면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아, 그 과정을 곱씹으며 마음을 정리했습니다. 혼자, 저녁 대신 야식을 시켜 술 한잔 하며 부족했던 점들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며 마음을 다독였습니다. 그 후 나의 부족한 역량을 인정하는 동시에, 더 나은 방..

DTO와 Entity 변환 방법 toEntity, fromEntity
📒 Java & Spring/Java2024. 11. 20. 02:15DTO와 Entity 변환 방법 toEntity, fromEntity

1. 서론 - DTO와 Entity 데이터 교환이 비즈니스 로직의 절반?FAQ 고객 지원 관련 비즈니스 로직을 설계하면서, Service 로직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적용했습니다. DTO를 사용함으로써 Entity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계층이 필요해졌고, 결과적으로 비즈니스 로직에 상당한 코드 라인이 추가되었습니다. '우아한 테크코스' 프리코스를 거치며 이러한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새로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어떻게 하면 DTO와 Entity 간의 변환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자 고민하게 되었습니다.public class FAQService { ... // DTO -> Entity 변환 private FAQ convertToEntity(FAQDTO ..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4주 차 회고
카테고리 없음2024. 11. 13. 17:20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4주 차 회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4주 차 회고4주 차 미션은 이전보다 훨씬 복잡한 요구 사항을 담고 있었습니다. 난이도 상승하면서 “객체 간의 어떤 메시지로 협력할까?”,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인 설계는 없을까?” 같은 질문들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습니다. 이런 고민을 안고 설계와 구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밤을 지새우는 날들이 빈번해졌고, TDD 방법론을 처음으로 시도하면서 미흡한 설계 역량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4주 차에서는 복잡해진 요구 사항에 따라 스스로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며 한층 더 성장했습니다.“지원서나 중간 회고에서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했다고 생각하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설정한 목표를 완벽하게 달성했다고는 할 수 ..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3주 차 회고
📝 회고록2024. 11. 6. 00:00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3주 차 회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3주 차 회고3주 차 일주일 동안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한 여행은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한편으로는 미션을 만족스럽게 수행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 한 주였습니다. 여행 일정으로 계획했던 만큼 몰입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이번 계기로 중요한 목표와 소중한 시간을 모두 충실히 지킬 수 있도록 계획을 더 세심하게 조율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션을 수행하며 ‘프로그래밍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더욱 구체적인 목표로 한층 더 성장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특히, 테스트 코드 작성의 중요성을 체감하며 안정성 확보와 사이드 이펙트를 감지의 이점을 경험했습니다.[Enum 사용으로, 중복을 최소화하고 가독성 향상]Enum을 활용하면서 코드의 가독성과 중복 제거 측면에서 큰 개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1주 차 회고
📝 회고록2024. 11. 5. 00:00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1주 차 회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1주 차 회고짧지만 알찼던 일주일은 배움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프리코스의 첫 여정을 시작하며 매일 새로운 학습을 기대하는 마음은 어린아이처럼 설렘으로 가득 찼고, 잠들기 전에는 하루 사이에 발전한 스스로를 떠올리며 뿌듯함과 행복을 느꼈습니다. 또한 2,600명의 동료와 함께 소통하며 얻은 정보와 인사이트는 성장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프리코스 목표 다짐 후, 지금까지의 여정]이전에 ‘4주간 매일 5시간 이상 미션에 몰입해 배우고 느낀 내용으로 TIL 작성하기’라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또한, 궁금한 점은 커뮤니티에 게시해 토론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즐거움을 느끼겠다는 다짐도 했습니다. 먼저, 노션에 TIL 템플릿을 만들어 시..

의식적인 연습으로 TDD, 리팩토링 연습 - 정리
📕 공부방/OOP2024. 10. 30. 20:00의식적인 연습으로 TDD, 리팩토링 연습 - 정리

해당 글은 포비님의 세미나와 개인적 지식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모든 자료의 출처는 '우아한 테크세미나'와 포비님임을 미리 밝힙니다.우아한 테크 코스의 프리코스를 진행하며, 학습 자료를 찾던 중 '우아한 테크세미나'의 좋은 자료가 있어 몇 번 정독하며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리팩토링 단어로는 단순한 작업으로 보이지만, 적용할 때 많은 고민과 생각을 하게 되는 부분이 많은 거 같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도 배운 점을 적용해 좋은 방향성을 잡아가고 있습니다.“나는 꼰대다”[의식적인 연습의 7가지 원칙]무조건 연습을 많이 한다고 잘할 수 있지 않다.첫째, 효과적인 훈련 기법이 수립되어 있는 기술 연마TDD, DDD처럼 검증된 방법을 통한 효율적으로 역량 향상둘째, 개인의 컴포트 존을 벗어난 지점에서 진행자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2주 차 회고
📝 회고록2024. 10. 29. 18:04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2주 차 회고

우아한 테크 코스 7기 프리코스 2주 차 회고벌써, 4주간의 시간 중 절반이 흘렀다.벌써 프리코스 4주 차의 절반을 마무리해 아쉬움이 남지만, 2,700명 이상의 동료와 함께한 지난 2주는 지원서에 작성한 목표를 뛰어넘는 빛나고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커뮤니티의 활동을 통해 10건 이상의 궁금증 해결과 코드 리뷰로 부족한 역량을 채워가는 성장의 즐거움을 만끽했습니다. 또한, 매일 TIL 작성으로 성장 과정을 시각화하고, 스스로 피드백하며 하루마다 발전된 모습에 자신감을 쌓아가고 있습니다.“지원서에 작성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2,700명의 동료와 함께 쌓는 지식, 부족한 역량 강화]프리코스 커뮤니티에서 함께 성장하는 즐거움을 목표로 삼았고, 그 과정에서..

[일상] 유스콘(YOUTHCON'24) 참여 후기
🗨️ 일상2024. 9. 11. 17:30[일상] 유스콘(YOUTHCON'24) 참여 후기

[PC] 🌙 다크 모드를 끄시면 글씨 굵기, 코드 블록을 더욱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설정은 블로그 오른쪽 상단에 있습니다.1. 서론 - "설마 오프라인 당첨이 될까?"유스콘 참여 이후 학우열이 북돋아, 프로젝트와 개강 준비에 급급해 늦게 참여 후기를 작성합니다.어느 날, 자주 질문을 남기던 커뮤니티 '유쾌한 스프링방'에서 유스콘 행사 안내를 접했습니다. 행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 되었고, "온라인으로도 충분히 동기부여를 받고 세션 내용을 들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오프라인 참가로 생동감 있는 현장의 분위기를 접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오프라인 신청서에 간절함을 담아 제출했습니다. (이전 인프콘 신청에서 떨어졌던 터라 더 간절했습니다. 😢)신청..

[Git] Git Branch 전략 어떤 걸 사용해야 할까?
📕 공부방/Git, GitHub2024. 8. 26. 18:00[Git] Git Branch 전략 어떤 걸 사용해야 할까?

1. 서론 - "Git Branch 전략 어떤 걸 사용하지?"프로젝트 초기 기획 단계를 마치고 개발 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규칙과 설정을 정해야 했습니다. 여러 안건 중 Git Branch 전략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공유해보려 합니다. 그리하여 과정 중 학습한 내용과 프로젝트에 도입한 전략과 왜 해당 전략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생각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2. Git Branch 전략2 - 1. Git Branch 전략이 필요한 시점개발을 처음 시작했을 때, Branch의 개념도 모르고 기본적으로 설정된 main 브랜치에 작업을 저장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몇 가지 공통적인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예를 들어, A와 B 개발자가 동시에 main 브랜치를 ..

[TIP] 기술 블로그 쉽게 쓰고 운영하기 - 개발자의 글쓰기
🍯 꿀팁2024. 8. 24. 13:00[TIP] 기술 블로그 쉽게 쓰고 운영하기 - 개발자의 글쓰기

[PC] 🌙 다크 모드를 끄시면 글씨 굵기, 코드 블록을 더욱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설정은 블로그 오른쪽 상단에 있습니다.1. 서론 - "책의 내용이 유용하고 재미있다"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자주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들을 극복하고, 글쓰기 방향을 꾸준히 점검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읽은 '개발자의 글쓰기' 책을 바탕으로, 기술 블로그 운영에 필요한 핵심 요소들을 다시 되새기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또한, 앞으로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방향을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리한 내용을 자주 복습하기 위해 글로 남기려 합니다. 글 작성의 문제가 될 경우 바로 비공개 및 삭제 처리 하겠습니다. 2. 핵심 내용 정리정리는 책의 핵심 내용과 필자의 생각 또는 느낀 점을 토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2..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