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Hub] GitHub Organization 생성 및 필요성](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X3c6%2FbtsGEhzYrL6%2F1rJn4PkA9DhVJh7OdTOrZ0%2Fimg.png)
[Git, GitHub] GitHub Organization 생성 및 필요성
최근 다양한 프로젝트 와 점차 늘어나는 참여 인원으로 인해 프로젝트 관리의 복잡성이 증가해..
개인 Repository에서의 협업 방식으로는 무리한 상황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효율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다양한 협업 방식을 알아보던 중 Organization 협업 방식을 알게 되어.
협업 방식에 대해 공부 및 사용해 보았고, 내용을 복습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GitHub 개인 Repository 협업 방식과 Organization 방식의 장단점
📕 개인 Repository
✔️ 장점 :
- 간단한 프로젝에 매우 적합
- 사용자가 모든 설정과 권한을 관리
✔️ 단점 :
- 대규모 팀과 복잡한 프로젝트 관리에 한계
- 권한 관리 및 협업의 제한적인 설정
📘 Organization 협업 방식
✔️ 장점 :
- 다수의 사용자와의 대규모 협업 용이
- 세분화된 권한 설정 가능
- 팀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에 최적화
✔️ 단점 :
- 설정과 관리가 복잡
- 작은 팀에는 과도한 기능과 구조
📒 개인 Repository와 Organization의 차이점
- 규모와 효율성 : 대규모 프로젝트와 복잡한 협업 구조에서의 차이
- 권한 관리 : 세분화된 권한 관리와 역할 할당의 중요성
📙 결론
✅ 개인 및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개인 Repository 방식이 효율적
✅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 및 실무 환경에서는 Organization 방식이 효율적
필자는 대규모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사회에서 요구하는 협업 능력을 키우기 위해 GitHub의 Organization 협업 방식을 공부하고 직접 사용해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1️⃣ GitHub Organization 만들기
✔️ GitHub 로그인 후 우측 상단에 있는 빨간 네모 박스 클릭 후
✔️ New Organization 클릭
✔️ 다양한 Plan이 존재하지만, Free Plan 이여도 충분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reate a free organization 클릭!
✔️ 작성 내용
- Organization name : 조직 이름 ( 프로젝트 팀 이름 및 회사 이름 )
- Contact mail : 연락처 이메일 - 조직 계정과 관련하여 연락을 주로 받을 이메일 주소입니다. 자주 확인하시는 이메일 추천합니다!
- This organization belongs to : 조직의 소속 결정 - (1) 나의 개인 계정 의미 (2) 비즈니스나 기관 (소규모 1번 추천!)
- Add-ons : Copilot 기능을 조직 협업 방식에 적용할 것인지 물어봅니다! (유료)
✔️ 협업할 팀원들의 이메일 및 아이디를 검색해서 추가 후 Complete Setup 클릭
2️⃣ GitHub Organization 생성 완료!
✨ 이렇게 GitHub Organization 생성을 완료했습니다. 완전 초기 화면이라 다양한 설정을 하라고 권유하는데 다음 포스트부터 차근차근 건드려보면서 꾸며보기도 하고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공부방 > Git,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 Branch 전략 어떤 걸 사용해야 할까? (0) | 2024.08.26 |
---|---|
[Git, GitHub] Git과 GitHub의 역할과 차이 이해하기 (0) | 2024.04.04 |
[Github] 깃허브 프로필 꾸미기(1) Header (0) | 2023.01.16 |
Backend 개발자를 꿈꾸는 꿈나무💭 기술 블로그
꾸준함을 목표로 하는 꿈나무 개발자 택이✌️입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 함께 프로젝트 및 스터디도 언제든지 희망합니다! 📖